no.13을 배경으로 한 [녹턴 전집(DG)] 소개 영상에서, 백건우 선생님은 쇼팽이라는 음악가에 대해 위와 같이 설명했다. 나는 이 앨범을 통해 처음 클래식 음악을 진심으로 좋아하게 된 초짜 리스너였고, 그나마도 이 앨범을 그리 많이 듣지 못했던 때 였지만, 백건우 선생님의 이 설명에 깊이 공감할 수 있었다. 이 초짜 리스너에게도 이 아름다운 녹턴의 선율은 동시에 참 슬프게 들렸기 때문이다. 그런데, 녹턴이 원래 그런 음악인가 싶어서 다른 연주자의 앨범을 들으면 또 그렇지만은 않다. 백건우 선생님의 녹턴은 유달리 '슬프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내가 슬퍼서 어쩔 줄을 모르겠다는 그런 슬픔이라기보다는, 너의 슬픔이 무엇인지 이해하겠다는 그런 슬픔이다. 그래서 오래 들어도 질리지 않고, 이해받고 싶을 때 찾아 듣는다.
사실 나에게는 이번 남한산성아트홀 공연이 두 번째 공연이다. 2019년 겨울, 크리스마스 즈음의 연말이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예술의 전당에서 같은 '백건우의 야상곡' 리사이틀을 들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같은 것은 리사이틀의 타이틀 뿐이라고 해야할 것이다. 연주자도, 그 연주를 듣는 나도 2년 전과는 달라져 있을테니 말이다. 나는 2년전에 이 리사이틀을 같이 들었던 사람과 결혼을 약속했고, 또 그 때보다는 훨씬 더 이 녹턴에 익숙해져있다. 백건우 선생님에게는 2년 동안 어떤 삶들이 있었을까. 나는 이번 공연을 보자마자 바로 티켓을 예매하면서 이 익숙한 음악이 어떻게 다르게 들릴지 너무 궁금했다.
백건우 선생님은 어떤 인터뷰에서 "그 일이 있고 난 후, 내 피아노 소리도 변했다"고 술회한적이 있다. 안타깝게도 그 일은 최근의 소란을 통해 공개적으로 알려졌다. 공연의 전후에, 나는 곧 부부가 될 동행과 그 일에 대해 얘기했다. 감히 상상도 되지 않는 슬픔이라고 우리 둘 다 생각했다. 사랑하는 사람의 기억 속에서 내가 사라지는 일은, 정말 그 일 만큼은 겪고 싶지 않은 삶의 마지막이라고. 변한 피아노 소리를 찾아 들으려고 간 것은 아니었지만, 그걸 찾으려고 한다고 들릴 만한 귀도 아니겠지만, 그걸 귀로 들어야 하는 종류의 변화인지도 모르겠지만, 2년전과는 결이 다른 슬픔을 들었고 함께 다시 올 수 있음에 감사했다.
공교롭게도 이번 리사이틀의 마지막 곡은 no.13이었다. 쇼팽은 슬픔을 안고 산 사람이라고 설명할 때 나오던 그 곡. 나또한 다시 듣고 싶어서 기대하던 곡이었는데 마지막 곡이었다. 초반부를 지나 음들이 쏟아져 내려오는 말미에 이르자 거의 기절할 듯한 에너지를 느꼈다. 앨범에서는 듣지 못한 소리도 들을 수 있었는데, 선생님이 온 몸에 힘을 실어 건반을 짚어나가면서 내는 발구름 소리였다. 아직도 귀에서는 그 처절하다 싶을 정도로 발구름 소리가 맴돈다.
그런데 왜 불교에서는 윤회를 얘기할까요? 우리가 살면서 자꾸 ‘나다’ 하는 생각을 하다 보니 ‘나’라고 하는 어떤 윤회의 씨앗이 있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부처님께서는 이걸 부정하셨어요. ‘내가 있다’는 관념에서 벗어나게 하기 위해서 부처님께서 연기법을 말씀하신 것인데, 그것을 오히려 논리화, 체계화해서 윤회를 증명하는 도구로 사용한 겁니다.
이렇게 12연기를 활용해서 사람이 죽었다가 다시 태어나는 윤회를 논리적으로 증명한 거예요. 이런 이론을 바탕으로 경전이나 교리, 논장 등이 편집되었기 때문에 불교 학자들이 참신하게 해석하는 것 같다가 마지막엔 결국 윤회 사상으로 넘어가 버리는 거예요.
12연기는 붓다가 설한 것이라고 볼 수 있는가? - 확인해야 할 문제...
비유를 든다면, 마치 기독교인이 ‘무상’, ‘고’, ‘무아’를 공부하고는 불법이 진리라고 인정하면서도 창조설의 테두리를 못 벗어나는 것과 같습니다. 서양에서 불교를 가르치는 사람들이 겪는 제일 큰 어려움이 이겁니다. 서양인 중에 불교 교리의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면을 좋아해서 나름대로 많이 공부한 사람도 결국에는 이렇게 묻습니다.
‘말씀은 다 이해하고 훌륭한데 한 가지가 해결이 안 됩니다. 아무리 설명을 들어도 이 세상을 누가 창조했는지에 대한 설명은 없습니다. 이 세상은 누가 창조했습니까?’
이것이 서양인들의 사고방식입니다. 이 세상은 누가 창조했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죠. 하나님이 창조하지 않았다는 것까지는 괜찮은데, 하나님이 안 했으면 누가 창조했느냐는 겁니다. 누구라도 창조했으니까 세상이 있을 것 아니냐는 거죠. 이렇게 기독교인은 누가 창조했다는 사유체계를 바탕으로 사물을 봅니다. 이게 바로 고정관념입니다. 교회에 안 다니는 사람은 누가 창조했는지 그런 생각을 안 하잖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