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의견을 받아주지 않으면 화가 나요.” - 스님의하루 (jungto.org)

 

“내 의견을 받아주지 않으면 화가 나요.” - 스님의하루

2020.1.8. 행복한 백일 사회강좌 기획 회의, 2021년 일정 회의, 정기법회

www.jungto.org

우리가 수행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아무리 하고 싶어도 손해가 크면 멈출 줄 알아야 하고, 아무리 하기 싫어도 손해가 크다면 능히 할 줄 아는 게 수행이니까요. 밤늦게 아무리 밥을 먹고 싶어도 비만이 심해 건강을 해친다면 안 먹어야 하는 것처럼, 내가 싫다고 안 해줘서 손해가 너무 크다면 싫어도 해야 합니다. 굶어 죽지 않으려면 해야 한다는 거예요.

 

 

이것이 수행의 핵심입니다. 수행은 자기 감정이나 자기 욕망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거예요. 그런데 우리는 감정이나 욕망이 시키는 대로 노예처럼 살아갑니다. 그 결과 막대한 손실을 보게 됩니다. 그 손실을 안 보려면 감정이나 욕망이 시키는 대로 하지 않아야 합니다. 위대한 영웅은 자기 감정이나 자기 욕망으로부터 자유로운 사람입니다. 부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셨어요.

“정말 자기를 고치고 싶다면, 이렇게 해 보세요.” - 스님의하루 (jungto.org)

 

“정말 자기를 고치고 싶다면, 이렇게 해 보세요.” - 스님의하루

2021.1.2. 천일결사 기도 생방송, 공동체 상근자 새해맞이 수련

www.jungto.org

자기를 고쳐야겠다고 아무리 각오해도 잘 안 고쳐집니다. 그 결과 자기를 자책하는 병이 또 생깁니다. 자기 변화를 하려면 각오를 할 게 아니라 자각을 해야 합니다. 자기 모습을 자각하게 되면 안 되는 자기를 받아들이게 됩니다. 자기를 받아들인다는 것은 자기를 합리화하는 것과는 전혀 의미가 다릅니다. 다른 사람이 뭐라고 할 때 변명하는 게 합리화라면 인정하는 것이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지난 한 해 다 내려놓고, 새해 새 아침을 맞이합시다" - 스님의하루 (jungto.org)

 

"지난 한 해 다 내려놓고, 새해 새 아침을 맞이합시다" - 스님의하루

2020.12.31. 재심자 온라인 명상 5일째 회향식, 실무자 연말 수련

www.jungto.org

그런 관점에서 여러분들이 스스로 발심을 좀 해야 됩니다. 자기가 자기 삶을 어떻게 살 거냐 하는 문제예요. 조금 더 나를 자유롭게 하기 위해서는 좋고 싫은 감정으로부터 자유로워지겠다는 목표로 분명히 해야 합니다. 그래야 자기가 싫어서 팩 돌아서다가도 그 감정을 탁 내려놓을 수 있고, 막 좋아하다가도 ‘아!’ 하고 딱 내려놓을 수 있습니다. 이런 연습을 계속해나가야 해요. 그런데 여러분들은 명상할 때만 연습을 하고 일상에서는 다시 원래대로 돌아가 버립니다.

"TV 소리 때문에 명상에 집중이 안 돼요." - 스님의하루 (jungto.org)

 

"TV 소리 때문에 명상에 집중이 안 돼요." - 스님의하루

2020.12.30. 재심자 온라인 명상 4일째

www.jungto.org

“명상을 너무 만병통치약처럼 생각하면 안 됩니다. 의식의 무지는 잘못된 생각을 탁 깨우치면 삶에 큰 변화가 옵니다. 무의식의 무지는 의식을 깨우치는 것만으로 전부 다 청소할 수는 없어요. 명상을 통해서 의식 이전에 과거로부터 형성된 나의 업식에 대해서 좀 더 깊은 자각이 일어나야 해요. ‘나를 안다’라고 말할 때 나의 까르마, 나의 업식을 안다고 할 수 있는 거예요. 느낌과 욕망이 일어나는 걸 보면 나의 업식을 알 수 있어요.

“욕망의 고리를 끊는 네 가지 단계” - 스님의하루 (jungto.org)

 

“욕망의 고리를 끊는 네 가지 단계” - 스님의하루

2020.12.29. 재심자 온라인 명상 3일째

www.jungto.org

첫째, 감각, 느낌을 알아차려서 욕망으로 번지기 전에 내려놓습니다.
둘째, 느낌을 놓쳤다면 마음을 알아차리고 내려놓습니다.
셋째, 마음도 놓쳤다면 계율을 지켜 과보를 막습니다.
넷째, 계율도 놓쳤다면 참회를 해서 둑을 보완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