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4건
네이버 지식백과
514건
- 논어의 문법적 이해
- 저자소개
- 머리말
- 學而篇第一(학이편제일)
- 1-1 자왈: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 1-2 유자왈: "기위인야효제이호범상자, 선의."
- 1-3 자왈: "교언령색, 선의인."
- 1-4 증자왈: "오일삼성오신: 위인모이불충호?"
- 1-5 자왈: "도천승지국, 경사이신, 절용이애인, 사민이시."
- 1-6 자왈: "제자, 입즉효, 출즉제, 근이신, 범애중이친인, 행유여력, 즉이학문."
- 1-7 자하왈: "현현이색; 사부모, 능갈기력; 사군, 능치기신; 여붕우교, 언이유신, 수왈미학, 오필위지학의."
- 1-8 자왈: "군자불중즉불위, 학즉불고."
- 1-9 증자왈: "신종추원, 민덕귀후의."
- 1-10 자금문어자공왈: "부자지어시방야, 필문기정, 구지여, 억여지여?"
- 1-11 자왈: "부재, 관기지; 부몰, 관기행; 삼년무개어부지도, 가위효의."
- 1-12 유자왈: "례지용, 화위귀."
- 1-13 유자왈: "신근어의, 언가복야."
- 1-14 자왈: "군자식무구포, 거무구안, 민어사이신어언, 취유도이정언, 가위호학야이."
- 1-15 자공왈: "빈이무첨, 부이무교, 하여?" 자왈: "가야. 미약빈이락, 부이호례자야."
- 1-16 자왈: "불환인지불기지, 환불지인야."
- 爲政篇第二(위정편제이)
- 2-1 자왈: "위정이덕, 비여북신, 거기소이중성공지."
- 2-2 자왈: "『시』삼백, 일언이폐지, 왈사무사."
- 2-3 자왈: "도지이정, 제지이형, 민면이무치; 도지이덕, 제지이례, 유치차격."
- 2-4 자왈: "오십유오이지어학, 삼십이립, 사십이불혹, 오십이지천명, 육십이이순, 칠십이종심소욕불유구."
- 2-5 맹의자문효, 자왈: "무위."
- 2-6 맹무백문효, 자왈: "부모유기질지우."
- 2-7 자유문효, 자왈: "금지효자, 시위능양."
- 2-8 자하문효, 자왈: "색난."
- 2-9 자왈: "오여회언종일, 불위, 여우."
- 2-10 자왈: "시기소이, 관기소유, 찰기소안, 인언수재, 인언수재!"
- 2-11 자왈: "온고이지신, 가이위사의."
- 2-12 자왈: "군자불기."
- 2-13 자공문군자, 자왈: "선행기언, 이후종지."
- 2-14 자왈: "군자주이불비, 소인비이불주."
- 2-15 자왈: "학이불사즉망, 사이불학즉태."
- 2-16 자왈: "공호이단, 사해야이."
- 2-17 자왈: "유! 회여지지호?"
- 2-18 자장학간록, 자왈: "다문궐의, 신언기여, 즉과우; 다견궐태, 신행기여, 즉과회."
- 2-19 애공문왈: "하위즉민복?" 공자대왈: "거직조제왕, 즉민복; 거왕조제직, 즉민불복."
- 2-20 계강자문: "사민경충이권, 여지하?" 자왈: "임지이장즉경, 효자즉충, 거선이교불능즉권."
- 2-21 혹위공자왈: "자해불위정?" 자왈: "『서』운: '효호! 유효, 우우형제, 시어유정.' 시역위정. 해기위위정?"
- 2-22 자왈: "인이무신, 불지기가야."
- 2-23 자왈: "은인어하례, 소손익가지야; 주인어은례, 소손익가지야. 기혹계주자, 수백세가지야."
- 2-24 자왈: "비기귀이제지, 첨야."
- 八佾篇第三(팔일편제삼)
- 3-1 공자위계씨: "팔일무어정, 시가인야, 숙불가인야?"
- 3-2 삼가자이「옹」철, 자왈: "'상유피공, 천자목목,' 해취어삼가지당?"
- 3-3 자왈: "인이불인, 여례하?"
- 3-4 림방문례지본, 자왈: "대재문!"
- 3-5 자왈: "이적지유군, 불여제하지무야."
- 3-6 계씨려어태산, 자위염유왈: "녀불능구여?"
- 3-7 자왈: "군자무소쟁, 필야사호!"
- 3-8 자하문: "'교소천혜, 미목반혜, 소이위현혜,' 하위야?" 자왈: "회사후소."
- 3-9 자왈: "하례오능언지, 기불족징야; 은례오능언지, 송불족징야."
- 3-10 자왈: "체, 자기관이왕자, 오불욕관지의."
- 3-11 혹문체지설, 자왈: "불지야."
- 3-12 제여재, 제신여신재. 자왈: "오불여제, 여불제."
- 3-13 왕손가문왈: "'여기미어오, 녕미어조,' 하위야." 자왈: "불연, 획죄어천, 무소도야."
- 3-14 자왈: "주감어이대, 욱욱호문재!"
- 3-15 혹왈: "숙위추인지자지례호? 입대묘, 매사문." 자문지왈: "시례야."
- 3-16 자왈: "사불주피, 위력불동과, 고지도야."
- 3-17 자공욕거고삭지희양. 자왈: "사야, 이애기양, 아애기례."
- 3-18 자왈: "사군진례, 인이위첨야."
- 3-19 정공문: "군사신, 신사군, 여지하?" 공자대왈: "군사신이례, 신사군이충."
- 3-20 자왈: "「관저」, 락이불음, 애이불상."
- 3-21 자문지, 왈: "성사불설, 수사불간, 기왕불구."
- 3-22 자왈: "관중지기소재!"
- 3-23 자어로대사락, 왈: "락기가지야."
- 3-24 의봉인청견왈: "군자지지어사야, 오미상불득견야."
- 3-25 자위「소」: "진미의!"
- 3-26 자왈: "거상불관, 위례불경, 림상불애, 오하이관지재?"
- 里仁篇第四(리인편제사)
- 4-1 자왈: "리인위미."
- 4-2 자왈: "불인자불가이구처약, 불가이장처락."
- 4-3 자왈: "유인자능호인, 능오인."
- 4-4 자왈: "구지어인의, 무악야."
- 4-5 자왈: "부여귀, 시인지소욕야, 불이기도득지, 불처야."
- 4-6 자왈: "아미견호인자·악불인자."
- 4-7 자왈: "인지과야, 각어기당."
- 4-8 자왈: "조문도, 석사가의."
- 4-9 자왈: "사지어도, 이치악의악식자, 미족여의야."
- 4-10 자왈: "군자지어천하야, 무적야, 무막야, 의지여비."
- 4-11 자왈: "군자회덕, 소인회토; 군자회형, 소인회혜."
- 4-12 자왈: "방어리이행, 다원."
- 4-13 자왈: "능이례양위국호?"
- 4-14 자왈: "불환무위, 환소이립; 불환막기지, 구위가지야."
- 4-15 자왈: "삼호! 오도일이관지."
- 4-16 자왈: "군자유어의, 소인유어리."
- 4-17 자왈: "견현사제언, 견불현이내자성야."
- 4-18 자왈: "사부모, 기간, 견지불종, 우경불위, 로이불원."
- 4-19 자왈: "부모재, 불원유, 유필유방."
- 4-20 자왈: "삼년무개어부지도, 가위효의."
- 4-21 자왈: "부모지년, 불가불지야."
- 4-22 자왈: "고자언지불출, 치궁지불체야."
- 4-23 자왈: "이약실지자선의."
- 4-24 자왈: "군자욕눌어언이민어행."
- 4-25 자왈: "덕불고, 필유린."
- 4-26 자유왈: "사군삭, 사욕의; 붕우삭, 사소의."
- 公冶長篇第五(공야장편제오)
- 5-1 자위공야장: "가처야."
- 5-2 자위남용: "방유도, 불폐; 방무도, 면어형륙."
- 5-3 자위자천: "군자재약인!"
- 5-4 자공문왈: "사야하여?" 자왈: "녀기야."
- 5-5 혹왈: "옹야인이불녕." 자왈: "언용녕? 어인이구급, 루증어인. 불지기인, 언용녕?"
- 5-6 자사칠조개사, 대왈: "오사지미능신."
- 5-7 자왈: "도불행, 승부부어해, 종아자기유여!"
- 5-8 맹무백문: "자로인호?" 자왈: "불지야."
- 5-9 자위자공왈: "녀여회야숙유?"
- 5-10 재여주침, 자왈: "후목불가조야, 분토지장불가오야."
- 5-11 자왈: "오미견강자."
- 5-12 자공왈: "아불욕인지가제아야, 오역욕무가제인." 자왈: "사야, 비이소급야."
- 5-13 자공왈: "부자지문장, 가득이문야; 부자지언성여천도, 불가득이문야."
- 5-14 자로유문, 미지능행, 유공유문.
- 5-15 자공문왈: "공문자하이위지문야?" 자왈: "민이호학, 불치하문, 시이위지문야."
- 5-16 자위자산: "유군자지도사언: 기행기야공, 기사상야경, 기양민야혜, 기사민야의."
- 5-17 자왈: "안평중선여인교, 구이경지."
- 5-18 자왈: "장문중거채, 산절조절, 하여기지야?"
- 5-19 자장문왈: "령윤자문, 삼사위령윤, 무희색, 삼이지, 무온색, 구령윤지정, 필이고신령윤, 하여?" 자왈: "충의."
- 5-20 계문자삼사이후행, 자문지, 왈: "재사가의."
- 5-21 자왈: "녕무자, 방유도칙지, 방무도칙우."
- 5-22 자재진, 왈: "귀여!"
- 5-23 자왈: "백이숙제불념구악, 원시용희."
- 5-24 자왈: "숙위미생고직?"
- 5-25 자왈: "교언·령색·주공, 좌구명치지, 구역치지; 닉원이우기인, 좌구명치지, 구역치지."
- 5-26 안연·계로시, 자왈: "합각언이지?"
- 5-27 자왈: "이의호!"
- 5-28 자왈: "십실지읍, 필유충신여구자언, 불여구지호학야."
- 雍也篇第六(옹야편제육)
- 6-1 자왈: "옹야가사남면."
- 6-2 중궁문자상백자, 자왈: "가야. 간."
- 6-3 공자대왈: "유안회자호학, 불천노, 불이과. 불행단명사의. 금야즉무, 미문호학자야."
- 6-4 자화사어제, 염자위기모청속, 자왈: "여지부."
- 6-5 원사위지재, 여지속구백, 사. 자왈: "무!"
- 6-6 자위중궁왈: "리우지자성차각, 수욕물용, 산천기사제?"
- 6-7 자왈: "회야, 기심삼월불위인, 기여칙일월지언이이의."
- 6-8 계강자문: "중유가사종정야여?" 자왈: "유야과, 어종정호하유?"
- 6-9 계씨사민자건위비재, 민자건왈: "선위아사언."
- 6-10 백우유질, 자문지, 자유집기수왈: "망지, 명의부!"
- 6-11 자왈: "현재회야!"
- 6-12 염구왈: "비불열자지도, 력불족야." 자왈: "력불족자중도이폐, 금녀획."
- 6-13 자위자하왈: "녀위군자유, 무위소인유."
- 6-14 자유위무성재, 자왈: "녀득인언이호?"
- 6-15 자왈: "맹지반불벌."
- 6-16 자왈: "불유축타지녕, 이유송조지미, 난호면어금지세의."
- 6-17 자왈: "수능출불유호?"
- 6-18 자왈: "질승문칙야, 문승질칙사."
- 6-19 자왈: "인지생야직, 망지생야행이면."
- 6-20 자왈: "지지자불여호지자, 호지자불여락지자."
- 6-21 자왈: "중인이상, 가이어상야; 중인이하, 불가이어상야."
- 6-22 번지문지, 자왈: "무민지의, 경귀신이원지, 가위지의."
- 6-23 자왈: "지자요수, 인자요산; 지자동, 인자정; 지자락, 인자수."
- 6-24 자왈: "제일변지어로, 로일변지어도."
- 6-25 자왈: "고불고, 고재!"
- 6-26 자왈: "하위기연야? 군자가서야, 불가함야; 가기야, 불가망야."
- 6-27 자왈: "군자박학어문, 약지이례, 역가이불반의부!"
- 6-28 자견남자, 자로불설, 부자시지왈: "여소비자, 천염지!"
- 6-29 자왈: "중용지위덕야, 기지의호!"
- 6-30 부인자, 기욕립이립인, 기욕달이달인. 능근취비, 가위인지방야이.
- 述而篇第七(술이편제칠)
- 7-1 자왈: "술이불작, 신이호고, 절비어아로팽."
- 7-2 자왈: "묵이지지, 학이불염, 회인불권, 하유어아재."
- 7-3 자왈: "덕지불수, 학지불강, 문의불능사, 불선불능개, 시오우야."
- 7-4 자지연거, 신신여야, 요요여야.
- 7-5 자왈: "심의오쇠야!"
- 7-6 자왈: "지어도, 거어덕, 의어인, 유어예."
- 7-7 자왈: "자행속수이상, 오미상무회언."
- 7-8 자왈: "불분불계, 불비불발."
- 7-9 자식어유상자지측, 미상포야.
- 7-10 자어시일곡, 칙불가.
- 7-11 자위안연왈: "용지칙행, 사지칙장, 유아여이유시부!"
- 7-12 자왈: "부이가구야, 수집편지사, 오역위지; 여불가구, 종오소호."
- 7-13 자지소신, 제·전·질.
- 7-14 자재제문『소』, 삼월불지육미, 왈: "불도위락지지어사야!"
- 7-15 "백이·숙제, 하인야?" 왈: "고지현인야."
- 7-16 자왈: "반소사음수, 곡굉이침지, 락역재기중의."
- 7-17 자왈: "가아수년, 오십이학『역』, 가이무대과의."
- 7-18 자소아언, 『시』·『서』·집례, 개아언야.
- 7-19 섭공문공자어자로, 자로불대. 자왈: "녀해불왈: '기위인야, 발분망식, 락이망우, 불지로지장지운이'?"
- 7-20 자왈: "아비생이지지자, 호고, 민이구지자야."
- 7-21 자불어괴력란신.
- 7-22 자왈: "삼인행, 필유아사언."
- 7-23 자왈: "천생덕어여, 환추기여여하?"
- 7-24 자왈: "이삼자이아위은호?"
- 7-25 자이사교: 문행충신.
- 7-26 자왈: "성인, 오불득이견지의!"
- 7-27 자조이불강, 익불사숙.
- 7-28 자왈: "개유불지이작지자, 아무시야."
- 7-29 호향난여언, 동자현, 문인혹, 자왈: "여기진야, 불여기퇴야, 유하심?"
- 7-30 자왈: "인원호재?"
- 7-31 진사패문: "소공지례호?" 공자왈: "지례."
- 7-32 자여인가이선, 필사반지, 이후화지.
- 7-33 자왈: "문, 막오유인야."
- 7-34 자왈: "약성여인, 즉오개감? 억위지불염, 회인불권, 즉가위운이이의."
- 7-35 자질병, 자로청도. 자왈: "유제?"
- 7-36 자왈: "사칙불손, 검칙고, 여기불손야, 녕고."
- 7-37 자왈: "군자탄탕탕, 소인장척척."
- 7-38 자온이려, 위이불맹, 공이안.
- 泰伯篇第八(태백편제팔)
- 8-1 자왈: "태백기가위지덕야이의!"
- 8-2 자왈: "공이무례칙로, 신이무례칙사, 용이무례칙란, 직이무례칙교."
- 8-3 증자유질, 소문제자왈: "계여족, 계여수."
- 8-4 증자유질, 맹경자문지. 증자언왈: "조지장사, 기명야애; 인지장사, 기언야선."
- 8-5 증자왈: "이능문어불능, 이다문어과, 유약무, 실약허, 범이불교, 석자오우상종사어사의."
- 8-6 증자왈: "가이탁륙척지고, 가이기백리지명, 림대절이불가탈야, 군자인여?"
- 8-7 증자왈: "사불가이불홍의, 임중이도원."
- 8-8 자왈: "흥어시, 립어례, 성어락."
- 8-9 자왈: "민가사유지, 불가사지지."
- 8-10 자왈: "호용질빈, 란야; 인이불인, 질지이심, 란야."
- 8-11 자왈: "여유주공지재지미, 사교차린, 기여불족관야."
- 8-12 자왈: "삼년학, 불지어곡, 불역득야."
- 8-13 자왈: "독신호학, 수사선도."
- 8-14 자왈: "불재기위, 불모기정."
- 8-15 자왈: "사지지시, 「관저」지란, 양양호영이재!"
- 8-16 자왈: "광이불직, 동이불원, 공공이불신, 오불지지의!"
- 8-17 자왈: "학여불급, 유공실지."
- 8-18 자왈: "외외호!"
- 8-19 자왈: "대재요지위군야!"
- 8-20 무왕왈: "여유란신십인." 공자왈: "재난, 불기연호?"
- 8-21 자왈: "우, 오무간연의."
- 子罕篇第九(자한편제구)
- 9-1 자한언리여명여인.
- 9-2 달항당인왈: "대재공자! 박학이무소성명." 자문지, 위문제자왈: "오하집? 집어호? 집사호? 오집어의."
- 9-3 자왈: "마면, 례야, 금야치, 검, 오종중."
- 9-4 자절사: 무의, 무필, 무고, 무아.
- 9-5 자외어광, 왈: "문왕기몰, 문불재자호?"
- 9-6 자문지, 왈: "태재지아호! 오소야천, 고다능비사. 군자다호재? 불다야."
- 9-7 뢰왈: "자운: '오불시, 고예.'"
- 9-8 자왈: "오유지호재?"
- 9-9 자왈: "봉조불지, 하불출도, 오이의부!"
- 9-10 자견자최자·면의상자여고자, 견지, 수소필작, 과지필추.
- 9-11 안연위연탄왈: "앙지미고, 찬지미견, 첨지재전, 홀언재후."
- 9-12 자질병, 자로사문인위신. 병간, 왈: "구의재유지행사야!"
- 9-13 자공왈: "유미옥어사, 온독이장제? 구선가이고제?" 자왈: "고지재! 고지재! 아대가자야."
- 9-14 자욕거구이. 혹왈: "루, 여지하?" 자왈: "군자거지, 하루지유?"
- 9-15 자왈: "오자위반로, 연후락정, 「아」·「송」각득기소."
- 9-16 자왈: "출칙사공경, 입칙사부형, 상사불감불면, 불위주곤, 하유어아재?"
- 9-17 자재천상, 왈: "서자여사부!"
- 9-18 자왈: "오미견호덕여호색자야."
- 9-19 자왈: "비여위산, 미성일궤, 지, 오지야; 비여평지, 수복일궤, 진, 오왕야."
- 9-20 자왈: "어지이불타자, 기회야여!"
- 9-21 자위안연왈: "석호!"
- 9-22 자왈: "묘이불수자유의부!"
- 9-23 자왈: "후생가외, 언지래자지불여금야?"
- 9-24 자왈: "법어지언, 능무종호?"
- 9-25 자왈: "주충신, 무우불여기자, 과칙물탄개."
- 9-26 자왈: "삼군가탈수야, 필부불가탈지야."
- 9-27 자왈: "의폐온포, 여의호학자립, 이불치자, 기유야여!"
- 9-28 자왈: "세한, 연후지송백지후조야."
- 9-29 자왈: "지자불혹, 인자불우, 용자불구."
- 9-30 자왈: "가여공학, 미가여적도; 가여적도, 미가여립; 가여립, 미가여권."
- 9-31 "당체지화, 편기반이! 개불이사? 실시원이!" 자왈: "미지사야, 부하원지유?"
- 鄕黨篇第十(향당편제십)
- 10-1 공자어향당, 순순여야, 사불능언자.
- 10-2 조, 여하대부언, 간간여야; 여상대부언, 은은여야.
- 10-3 군소사빈, 색발여야, 족곽여야. 읍소여립, 좌우수, 의전후, 첨여야, 추진, 익여야.
- 10-4 입공문, 국궁여야, 여불용.
- 10-5 집규, 국궁여야, 여불승.
- 10-6 군자불이감추식, 홍자불이위설복.
- 10-7 재, 필유명의, 포.
- 10-8 사불염정, 회불염세.
- 10-9 제어공, 불숙육.
- 10-10 식불어, 침불언.
- 10-11 수소사채갱, 과제, 필제여야.
- 10-12 석불정, 불좌.
- 10-13 향인음주, 장자출, 사출의.
- 10-14 향인나, 조복이립어조계.
- 10-15 문인어타방, 재배이송지.
- 10-16 강자궤약, 배이수지, 왈: "구미달, 불감상."
- 10-17 구분, 자퇴조, 왈: "상인호?"
- 10-18 군사식, 필정석선상지; 군사성, 필숙이천지; 군사생, 필축지.
- 10-19 질, 군시지, 동수, 가조복, 타신.
- 10-20 군명소, 불사가행의.
- 10-21 입태묘, 매사문.
- 10-22 붕우사, 무소귀, 왈: "어아빈."
- 10-23 붕우지궤, 수차마, 비제육, 불배.
- 10-24 침불시, 거불용.
- 10-25 견자최자, 수압, 필변.
- 10-26 승차, 필정립, 집수.
- 10-27 색사거의, 상이후집. 왈: "산량자치, 시재시재!"
- 先進篇第十一(선진편제십일)
- 11-1 자왈: "선진어례락, 야인야; 후진어례락, 군자야."
- 11-2 자왈: "종아어진·채자, 개불급문야."
- 11-3 덕행: 안연·민자건·염백우·중궁; 언어: 재아·자공; 정사: 염유·계로; 문학: 자유·자하.
- 11-4 자왈: "회야비조아자야, 어오언무소불열."
- 11-5 자왈: "효재민자건!"
- 11-6 남용삼복백규, 공자이기형지자처지.
- 11-7 계강자문: "제자숙위호학?" 공자대왈: "유안회자호학, 불행단명사의, 금야칙망."
- 11-8 안연사, 안로청자지차이위지곽. 자왈: "재불재, 역각언기자야."
- 11-9 안연사, 자왈: "희!"
- 11-10 안연사, 자곡지통, 종자왈: "자통의." 왈: "유통호? 비부인지위통이수위?"
- 11-11 안연사, 문인욕후장지, 자왈: "불가."
- 11-12 계로문사귀신, 자왈: "미능사인, 언능사귀?"
- 11-13 민자시측, 은은여야; 자로, 행행여야; 염유·자공, 간간여야. 자락. "약유야, 불득기사연."
- 11-14 로인위장부, 민자건왈: "잉구관여지하? 하필개작?" 자왈: "부인불언, 언필유중."
- 11-15 자왈: "유지슬, 해위어구지문?"
- 11-16 자공문: "사여상야숙현?" 자왈: "사야과, 상야불급."
- 11-17 계씨부어주공, 이구야위지취렴이부익지. 자왈: "비오도야."
- 11-18 시야우, 참야로, 사야피, 유야언.
- 11-19 자왈: "회야기서호, 루공.
- 11-20 자장문선인지도, 자왈: "불천적, 역불입어실."
- 11-21 자왈: "론독시여, 군자자호, 색장자호?"
- 11-22 자로문: "문사행제?" 자왈: "유부형재, 여지하기문사행지?"
- 11-23 자외어광, 안연후. 자왈: "오이녀위사의."
- 11-24 자왈: "오이자위이지문, 증유여구지문. 소위대신자, 이도사군, 불가즉지. 금유여구야, 가위구신의."
- 11-25 자로사자고위비재, 자왈: "적부인지자."
- 11-26 자로·증석·염유·공서화시좌, 자왈: "이오일일장호이, 무오이야. 거즉왈: '불오지야,' 여혹지이, 즉하이재?"
- 顔淵篇第十二(안연편제십이)
- 12-1 안연문인, 자왈: "극기복례위인. 일일극기복례, 천하귀인언. 위인유기, 이유인호재?"
- 12-2 중궁문인, 자왈: "출문여견대빈, 사민여승대제. 기소불욕, 물시어인. 재방무원, 재가무원."
- 12-3 사마우문인, 자왈: "인자, 기언야인."
- 12-4 사마우문군자, 자왈: "군자불우불구."
- 12-5 사마우우왈: "인개유형제, 아독무."
- 12-6 자장문명, 자왈: "침윤지참, 부수지소, 불행언, 가위명야이의."
- 12-7 자공문정, 자왈: "족식, 족병, 민신지의."
- 12-8 극자성왈: "군자질이이의, 하이문위?"
- 12-9 애공문어유약왈: "년기, 용불족, 여지하?"
- 12-10 자장문숭덕·변혹, 자왈: "주충신, 사의, 숭덕야."
- 12-11 제경공문정어공자, 공자대왈: "군군, 신신, 부부, 자자."
- 12-12 자왈: "편언가이절옥자, 기유야여!"
- 12-13 자왈: "청송, 오유인야."
- 12-14 자장문정, 자왈: "거지무권, 행지이충."
- 12-15 자왈: "박학어문, 약지이례, 역가이불반의부!"
- 12-16 자왈: "군자성인지미, 불성인지악, 소인반시."
- 12-17 계강자문정어공자, 공자대왈: "정자, 정야."
- 12-18 계강자환도, 문어공자, 공자대왈: "구자지불욕, 수상지불절."
- 12-19 공자대왈: "자위정, 언용살? 자욕선이민선의. 군자지덕, 풍; 소인지덕, 초. 초, 상지풍, 필언."
- 12-20 자장문: "사하여사가위지달의?" 자왈: "하재이소위달자?"
- 12-21 자왈: "선재문! 선사후득, 비숭덕여? 공기악, 무공인지악, 비수특여? 일조지분, 망기신, 이급기친, 비혹여?"
- 12-22 번지문인, 자왈: "애인."
- 12-23 자공문우, 자왈: "충고이선도지, 불가칙지, 무자욕언."
- 12-24 증자왈: "군자이문회우, 이우보인."
- 子路篇第十三(자로편제십삼)
- 13-1 자로문정, 자왈: "선지로지."
- 13-2 중궁위계씨재, 문정, 자왈: "선유사, 사소과, 거현재."
- 13-3 자로왈: "위군대자이위정, 자장해선?" 자왈: "필야정명호!"
- 13-4 번지청학가, 자왈: "오불여로농."
- 13-5 자왈: "송『시』삼백, 수지이정, 불달; 사어사방, 불능전대, 수다역해이위?"
- 13-6 자왈: "기신정, 불령이행; 기신불정, 수령불종."
- 13-7 자왈: "로위지정, 형제야."
- 13-8 자위위공자형: "선거실."
- 13-9 자적위, 염유복, 자왈: "서의재!"
- 13-10 자왈: "구유용아자, 기월이이가야, 삼년유성."
- 13-11 자왈: "'선인위방백년, 역가이승잔거살의,' 성재시언야!"
- 13-12 자왈: "여유왕자, 필세이후인."
- 13-13 자왈: "구정기신의, 어종정호하유?"
- 13-14 염자퇴조, 자왈: "하안야?"
- 13-15 정공문: "일언이가이흥방, 유제?" 공자대왈: "언불가이약시. 기기야, 인지언왈: '위군난, 위신불역.' 여지위군지난야, 불기호일언이흥방호?"
- 13-16 엽공문정, 자왈: "근자열, 원자래."
- 13-17 자하위거부재, 문정, 자왈: "무욕속, 무견소리."
- 13-18 섭공어공자왈: "오당유직궁자, 기부양양, 이자증지." 공자왈: "오당지직자이어시. 부위자은, 자위부은, 직재기중의."
- 13-19 번지문인, 자왈: "거처공, 집사경, 여인충."
- 13-20 자공문왈: "하여사가위지사의?" 자왈: "행기유치, 사어사방, 불욕군명, 가위사의."
- 13-21 자왈: "불득중행이여지, 필야광견호!"
- 13-22 자왈: "남인유언: '인이무항, 불가이작무의,' 선부!"
- 13-23 자왈: "군자화이불동, 소인동이불화."
- 13-24 자공문왈: "향인개호지, 하여?" 자왈: "미가야."
- 13-25 자왈: "군자역사이난열야."
- 13-26 자왈: "군자태이불교, 소인교이불태."
- 13-27 자왈: "강의목눌, 근인."
- 13-28 자로문왈: "하여사가위지사의?" 자왈: "절절시시, 이이여야, 가위사의. 붕우절절시시, 형제이이."
- 13-29 자왈: "선인교민칠년, 역가이즉융의."
- 13-30 자왈: "이불교민전, 시위기지."
- 憲問篇第十四(헌문편제십사)
- 14-1 헌문치, 자왈: "방유도, 곡; 방무도, 곡, 치야."
- 14-2 자왈: "사이회거, 불족이위사의."
- 14-3 자왈: "방유도, 위언위행; 방무도, 위행언손."
- 14-4 자왈: "유덕자필유언, 유언자불필유덕."
- 14-5 남궁괄문어공자왈: "예선사, 오탕주, 구불득기사연. 우·직궁가이유천하." 부자불답. 남궁괄출, 자왈: "군자재약인! 상덕재약인!"
- 14-6 자왈: "군자이불인자, 유의부!"
- 14-7 자왈: "애지, 능물로호?"
- 14-8 자왈: "위명, 비심초창지, 세숙토론지, 행인자우수식지, 동리자산윤색지."
- 14-9 혹문자산, 자왈: "혜인야."
- 14-10 자왈: "빈이무원난, 부이무교역."
- 14-11 자왈: "맹공작위조·위로즉우, 불가이위등·설대부."
- 14-12 자로문성인, 자왈: "약장무중지지, 공작지불욕, 변장자지용, 염구지예, 문지이례락, 역가이위성인의."
- 14-13 자문공숙문자어공명가왈: "신호? 부자불언, 불소, 불취호?"
- 14-14 자왈: "장무중이방구위후어로, 수왈불요군, 오불신야."
- 14-15 자왈: "진문공휼이불정, 제환공정이불휼."
- 14-16 자로왈: "환공살공자규, 소홀사지, 관중불사." 왈: "미인호?" 자왈: "환공구합제후, 불이병차, 관중지력야. 여기인, 여기인."
- 14-17 자왈: "관중상환공패제후, 일광천하, 민도우금수기사. 미관중, 오기피발좌임의! 개약필부필부지위량야, 자경어구독이막지지야?"
- 14-18 공숙문자지신대부선, 여문자동승제공, 자문지왈: "가이위문의."
- 14-19 자언위령공지무도야, 강자왈: "부여시, 해이불상?" 공자왈: "중숙어치빈객, 축타치종묘, 왕손가치군려. 부여시, 해기상?"
- 14-20 자왈: "기언지불작, 칙위지야난."
- 14-21 진성자시간공, 공자목욕이조, 고어애공왈: "진항시기군, 청토지." 공왈: "고부삼자!" 공자왈: "이오종대부지후, 불감불고야. 군왈고부삼자자."
- 14-22 자로문사군, 자왈: "물기야, 이범지."
- 14-23 자왈: "군자상달, 소인하달."
- 14-24 자왈: "고지학자위기, 금지학자위인."
- 14-25 거백옥사인어공자. 공자여지좌이문언, 왈: "부자하위?"
- 14-26 자왈: "불재기위, 불모기정."
- 14-27 자왈: "군자치기언이과기행."
- 14-28 자왈: "군자도자삼, 아무능언: 인자불우, 지자불혹, 용자불구."
- 14-29 자공방인, 자왈: "사야현호재!"
- 14-30 자왈: "불환인지불기지, 환기불능야."
- 14-31 자왈: "불역사, 불억불신, 억역선각자, 시현호!"
- 14-32 미생무위공자왈: "구하위시서서자여? 무내위녕호?" 공자왈: "비감위녕야. 질고야."
- 14-33 자왈: "기불칭기력, 칭기덕야."
- 14-34 혹왈: "이덕보원, 하여?" 자왈: "하이보덕? 이직보원, 이덕보덕."
- 14-35 자왈: "막아지야부!"
- 14-36 공백료소자로어계손, 자복경백이고, 왈: "부자고유혹지어공백료, 오력유능사제시조." 자왈: "도지장행야여, 명야; 도지장폐야여, 명야. 공백료기여명하?"
- 14-37 자왈: "현자피세, 기차피지, 기차피색, 기차피언."
- 14-38 자로숙어석문, 신문왈: "해자?"
- 14-39 자격경어위, 유하괴이과공씨지문자, 왈: "유심재, 격경호!" 기이왈: "비재, 갱갱호! 막기지야, 사이이이의. 심칙려, 천칙게." 자왈: "과재! 말지난의."
- 14-40 자장왈: "『서』운: '고종량음, 삼년불언.' 하위야?" 자왈: "하필고종? 고지인개연. 군훙, 백관총기이청어총재삼년."
- 14-41 자왈: "상호례, 칙민역사야."
- 14-42 자로문군자, 자왈: "수기이경."
- 14-43 원양이사, 자왈: "유이불손제, 장이무술언, 로이불사, 시위적."
- 14-44 궐당동자장명. 혹문지왈: "익자여?" 자왈: "오견기거어위야, 견기여선생병행야. 비구익자야, 욕속성자야."
- 衛靈公篇第十五(위령공편제십오)
- 15-1 위령공문진어공자, 공자대왈: "조두지사, 칙상문지의; 군려지사, 미지학야."
- 15-2 재진절량, 종자병, 막능흥. 자로온견왈: "군자역유궁호?" 자왈: "군자고궁, 소인궁사남의."
- 15-3 자왈: "사야, 여이여위다학이식지자여?"
- 15-4 자왈: "유, 지덕자선의!"
- 15-5 자왈: "무위이치자, 기순야여!"
- 15-6 자장문행, 자왈: "언충신, 행독경, 수만맥지방, 행의."
- 15-7 자왈: "직재사어!"
- 15-8 자왈: "가여언이불여지언, 실인; 불가여언이여지언, 실언."
- 15-9 자왈: "지사인인, 무구생이해인, 유살신이성인."
- 15-10 자공문위인, 자왈: "공욕선기사, 필선리기기."
- 15-11 안연문위방, 자왈: "행하지시, 승은지로, 복주지면, 악즉「소무」, 방정성, 원녕인."
- 15-12 자왈: "인무원려, 필유근우."
- 15-13 자왈: "이의호!"
- 15-14 자왈: "장문중, 기절위자여!"
- 15-15 자왈: "궁자후, 이박책어인, 칙원원의."
- 15-16 자왈: "불왈 '여지하여지하' 자, 오말여지하야이의."
- 15-17 자왈: "군거종일, 언불급의, 호행소혜, 난의재!"
- 15-18 자왈: "군자의이위질, 예이행지, 손이출지, 신이성지, 군자재!"
- 15-19 자왈: "군자병무능언, 불병인지불기지야."
- 15-20 자왈: "군자질몰세이명불칭언."
- 15-21 자왈: "군자구제기, 소인구제인."
- 15-22 자왈: "군자긍이불쟁, 군이불당."
- 15-23 자왈: "군자불이언거인, 불이인폐언."
- 15-24 자공문왈: "유일언이가이종신행지자호?" 자왈: "기서호! 기소불욕, 물시어인."
- 15-25 자왈: "오지어인야, 수훼수예?"
- 15-26 자왈: "오유급사지궐문야, 유마자차인승지, 금망의부!"
- 15-27 자왈: "교언난덕, 소불인칙난대모."
- 15-28 자왈: "중악지, 필찰언; 중호지, 필찰언."
- 15-29 자왈: "인능홍도, 비도홍인."
- 15-30 자왈: "과이불개, 시위과의."
- 15-31 자왈: "오상종일불식, 종야불침이사, 무익, 불여학야."
- 15-32 자왈: "군자모도불모식."
- 15-33 자왈: "지급지, 인불능수지, 수득지, 필실지."
- 15-34 자왈: "군자불가소지, 이가대수야; 소인불가대수, 이가소지야."
- 15-35 자왈: "민지어인야, 심어수화."
- 15-36 자왈: "당인, 불양어사."
- 15-37 자왈: "군자정이불양."
- 15-38 자왈: "사군, 경기사이후기식."
- 15-39 자왈: "유교무류."
- 15-40 자왈: "도불동, 불상위모."
- 15-41 자왈: "사, 달이이의."
- 15-42 사면현, 급계, 자왈: "계야."
- 季氏篇第十六(계씨편제십육)
- 16-1 계씨장벌전유. 염유·계로현어공자왈: "계씨장유사어전유." 공자왈: "구! 무내이시과여?"
- 16-2 공자왈: "천하유도, 칙례악정벌자천자출; 천하무도, 칙례악정벌자제후출."
- 16-3 공자왈: "녹지거공실오세의, 정체어대부사세의."
- 16-4 공자왈: "익자삼우, 손자삼우."
- 16-5 공자왈: "익자삼요, 손자삼요."
- 16-6 공자왈: "시어군자유삼건: 언미급지이언, 위지조; 언급지이불언, 위지은; 미견안색이언, 위지고."
- 16-7 공자왈: "군자유삼계: 소지시, 혈기미정, 계지재색; 급기장야, 혈기방강, 계지재투; 급기노야, 혈기기쇠, 계지재득."
- 16-8 공자왈: "군자유삼외: 외천명, 외대인, 외성인지언."
- 16-9 공자왈: "생이지지자상야, 학이지지자차야, 곤이학지우기차야."
- 16-10 공자왈: "군자유구사: 시사명, 청사총, 색사온, 모사공, 언사충, 사사경, 의사문, 분사난, 견득사의."
- 16-11 공자왈: "견선여불급, 견불선여탐탕, 오견기인의, 오문기어의."
- 16-12 제경공유마천사, 사지일, 민무덕이칭언.
- 16-13 진항문어백어왈: "자역유이문호?"
- 16-14 방군지처, 군칭지왈부인, 부인자칭왈소동; 방인칭지왈군부인, 칭제이방왈과소군; 이방인칭지, 역왈군부인.
- 陽貨篇第十七(양화편제십칠)
- 17-1 양화욕견공자, 공자불견, 귀공자돈. 공자시기무야, 이왕배지, 우제도.
- 17-2 자왈: "성상근야, 습상원야."
- 17-3 자왈: "유상지여하우불이."
- 17-4 자지무성, 문현가지성. 부자완이이소, 왈: "할계언용우도?"
- 17-5 자왈: "부소아자, 이개도재? 여유용아자, 오기위동주호!"
- 17-6 자장문인어공자, 공자왈: "능행오자어천하위인의."
- 17-7 자왈: "연. 유시언야. 불왈: '견호마이불린'? 불왈: '백호열이불치'? 오개포과야재! 언능계이불식?"
- 17-8 자왈: "유야! 녀문륙언륙폐의호?"
- 17-9 자왈: "소자하막학부『시』?"
- 17-10 자위백어왈: "녀위「주남」·「소남」의호?"
- 17-11 자왈: "례운례운, 옥백운호재?"
- 17-12 자왈: "색려이내임, 비제소인, 기유천유지도야여!"
- 17-13 자왈: "향원덕지적야."
- 17-14 자왈: "도청이도설, 덕지기야."
- 17-15 자왈: "비부가여사군야여재?"
- 17-16 자왈: "고자민유삼질, 금야혹시지망야."
- 17-17 자왈: "교언령색, 선의인."
- 17-18 자왈: "악자지탈주야, 악정성지란아락야, 악리구지복방가자."
- 17-19 자왈: "여욕무언."
- 17-20 유비욕견공자, 공자사이질.
- 17-21 재아문: "삼년지상, 기이구의. 군자삼년불위례, 례필괴; 삼년불위락, 락필붕. 구곡기몰, 신곡기승, 찬수개화, 기가이의." 자왈: "식부도, 의부금, 어녀안호?"
- 17-22 자왈: "포식종일, 무소용심, 난의재!"
- 17-23 자로왈: "군자상용호?" 자왈: "군자의이위상, 군자유용이무의위란, 소인유용이무의위도."
- 17-24 자공왈: "군자역유악호?" 자왈: "유악. 악칭인지악자, 악거하류이산상자, 악용이무례자, 악과감이질자."
- 17-25 자왈: "유녀자여소인, 위난양야."
- 17-26 자왈: "년사십이견악언, 기종야이."
- 微子篇第十八(미자편제십팔)
- 18-1 미자거지, 기자위지노, 비간간이사. 공자왈: "은유삼인언."
- 18-2 유하혜위사사, 삼출. 인왈: "자미가이거호?"
- 18-3 제경공대공자왈: "약계씨, 칙오불능. 이계·맹지간대지." 왈: "오노의, 불능용야."
- 18-4 제인귀녀악, 계환자수지, 삼일불조.
- 18-5 초광접여가이과공자왈: "봉혜봉혜!"
- 18-6 자로행이고, 부자무연왈: "조수불가여동군, 오비사인지도여이수여? 천하유도, 구불여역야."
- 18-7 자로종이후, 우장인, 이장하조. 자로문왈: "자견부자호?" 장인왈: "사체불근, 오곡불분, 숙위부자?" 식기장이운.
- 18-8 일민: 백이·숙제·우중·이일·주장·류하혜·소련. 자왈: "불강기지, 불욕기신, 백이·숙제여!"
- 18-9 태사지적제, 아반간적초, 삼반료적채, 사반결적진, 고방숙입어하, 파도무입어한, 소사양·격경양입어해.
- 18-10 주공위로공왈: "군자불시기친; 불사대신원호불이; 고구무대고, 칙불기야; 무구비어일인."
- 18-11 주유팔사: 백달·백괄·중돌·중홀·숙야·숙하·계수·계왜.
- 子張篇第十九(자장편제십구)
- 19-1 자장왈: "사, 견위치명, 견득사의, 제사경, 상사애, 기가이의."
- 19-2 자장왈: "집덕불홍, 신도불독, 언능위유?"
- 19-3 자하지문인문교어자장, 자장왈: "자하운하?"
- 19-4 자하왈: "수소도, 필유가관자언, 치원공니, 시이군자불위야."
- 19-5 자하왈: "일지기소무, 월무망기소능, 가위호학야이의."
- 19-6 자하왈: "박학이독지, 절문이근사, 인재기중의."
- 19-7 자하왈: "백공거사이성기사, 군자학이치기도."
- 19-8 자하왈: "소인지과야필문."
- 19-9 자하왈: "군자유삼변: 망지엄연, 즉지야온, 청기언야려."
- 19-10 자하왈: "군자, 신이후로기민, 미신칙이위려기야; 신이후간, 미신칙이위방기야."
- 19-11 자하왈: "대덕불유한, 소덕출입가야."
- 19-12 자유왈: "자하지문인소자, 당세소응대진퇴, 즉가의, 억말야. 본지칙무, 여지하?"
- 19-13 자하왈: "사이우칙학, 학이우칙사."
- 19-14 자유왈: "상치호애이지."
- 19-15 자유왈: "오우장야위난능야, 연이미인."
- 19-16 증자왈: "당당호장야!"
- 19-17 증자왈: "오문제부자: 인미유자치자야, 필야친상호!"
- 19-18 증자왈: "오문제부자: 맹장자지효야, 기타가능야, 기불개부지신여부지정, 시난능야."
- 19-19 맹씨사양부위사사, 문어증자, 증자왈: "상실기도, 민산구의."
- 19-20 자공왈: "주지불선, 불여시지심야."
- 19-21 자공왈: "군자지과야, 여일월지식언."
- 19-22 위공손조문어자공왈: "중니언학?"
- 19-23 숙손무숙어대부어조왈: "자공현어중니."
- 19-24 숙손무숙훼중니, 자공왈: "무이위야!"
- 19-25 진자금위자공왈: "자위공야, 중니개현어자호?"
- 堯曰篇第二十(요왈편제이십)
- 부록 1 공자 제자 일람표
- 부록 2 문법 설명 및 어휘 풀이 색인
논어의 문법적 이해 정보 제공처
'수행修行 > 번역연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장에서 간행한 [사자서] 뒤에 씀書臨漳所刊四子後([晦庵集]82권) (1) | 2022.09.16 |
---|---|
대청국(大淸國) 관온인성황제(寬溫仁聖皇帝)는 조선국왕에게 조서를 내려 깨우치게 한다. (0) | 2022.01.10 |
사자소학 - 친구에 대하여 (0) | 2020.12.19 |
이탁오의 남녀평등론 (1) | 2020.12.19 |